본문 바로가기

상식

논란이 많은 인공지능의 배경 및 정의 (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의 배경 및 정의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의 배경을 알아보면, 

1956년 Dartmouth College 학술회에서
John McCarthy, Marvin Minsky 와 같은 인공지능 학술자들이
인간의 지능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묘사될 수 있다는 것을 발표하였고 그 뒤로 인공지능이라는 용어가 탄생하였습니다. 

 

 

그 후로 현재는 실용화의 시기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고,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의 정의는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지능이라는 것이 추상적이고 복합적이며 상대적이여서 정의를 내리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인공지능에 대해서 여러 전문가들은 다양하게 정의를 내리고 있습니다.

 

 

 

앨런 튜링 (Alan Turing)

 

"인공지능의 발명이란 자동차에서 바퀴를 떼어낸 뒤 그 자리에 발을 달기 위해 고심하는 것이다."

 

 

 

 

 

패트릭 윈스턴 (Patrick Winston)

 

"생각, 인식, 행동을 함께 묶는 루프를 목표 대상으로 지능을 가질 수 있는 아이디어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패트릭 윈스턴

 

 

 

 

마빈 민스키 (Marvin Minsky)

 

"인간의 지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드는 학문이다."

 

마빈 민스키

 

 

 

 

제레미 아킨 (Jeremy Archine)

 

"일반적으로 인간의 지능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롭 칼란 (Rob Callen)

 

"기계는 하기 힘들지만 인간은 비교적 쉽게 잘할 수 있는 것들, 예를 들어 추론, 인식, 지각과 같은 것을 모의 실험할 수 있는 기계 알고리즘을 만드는 학문이다."

 

 

 

 

 

 

이렇게 인공지능에 대한 정의도 전문가들 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인공지능의 원론적인 정의

인간 지능의 본질을 규명하고 이를 인공적으로 재현하려는 기술이나 학문입니다.

 

 

 

 

 

4차 산업의 필두인 인공지능은 이미 우리 생활 속에도 들어와있습니다.

가장 친근한 것이 아마도 

 

 

이세돌선수를 이긴 알파고, 알파고 제로

삼성의 빅스비

애플의 SIRI

아마존의 ECHO 

 

 

를 볼 수 있으며, 가전 제품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로봇청소기 : 갔던 길을 다시 가지 않고 경로를 계획하며 한번 갔던 집의 구조를 기억하는 지능.

세탁기 & 건조기 : 의류의 종류 및 오염정도에 따라 세탁, 건조 방법을 다르게 함.

가정뿐만 아니라 군사, 의료, 제조, 금융 등에 이미 인공 지능은 우리 삶에서 이미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자리잡아있습니다.